2025년 서울시 청년 정책만 모은 지원금 리스트 놓치면 손해!
청년이라면 서울시가 매달 주는 돈이 있다는 걸 아시나요?
서울에 살고 있는 청년이라면 단순 복지 정책을 넘는 ‘지원금 제도’가 생각보다 많다는 걸 아시는 분들은 드물어요.
2025년 현재 서울시는 일자리, 주거, 교육, 금융, 창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
청년의 삶을 실질적으로 도와주는 현금성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요.
중요한 건, 대부분의 정책이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이에요.
지금 이 글에서는 2025년 서울시 기준, 청년이 신청할 수 있는 ‘지원금 중심 정책’만 쏙쏙 뽑아
누가, 언제,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.
단 한 개만 신청해도 수십만 원, 많게는 수백만 원이 생기는 정책들이니, 꼭 확인해 보세요.
1. 청년월세지원 최대 240만 원, 매달 월세 정부가 지원해줘요.
서울시 청년에게 가장 절실한 건 바로 주거비 부담 완화죠.
2025년 기준, 만 19~34세 청년이라면 서울형 월세지원 또는 국비 연계 월세지원을 신청할 수 있어요.
- 지원금액: 최대 월 20만 원 × 12개월 = 총 240만 원
- 지원 방식: 신청자 계좌로 월세 실비 보조
- 조 건: 월세 60만 원 이하 거주자, 보증금 8천만 원 이하, 중위소득 150% 이하
- 신청처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, 주민센터
- 2025년 접수기간: 25. 6월 마감
2. 청년 기본소득 성격의 ‘서울형 청년수당’ 최대 300만 원 지원
서울형 청년수당은 구직 중이거나, 일정 소득 이하인 청년에게
현금성 지원금을 지급하는 서울시 대표 청년 정책입니다.
- 지원금액: 월 50만 원 × 6개월 = 최대 300만 원
- 지원 대상: 만 19~34세, 서울 거주 6개월 이상, 미취업 또는 주 30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 근로 계약된 경우
- 지원 방식: 체크카드 형태 지급 (지정된 생활비 항목 사용)
- 신청 기간: 2025.06.10 ~ 12. (현재 마감)
- 신청처: 청년몽땅정보통(youth.seoul.go.kr)
유의사항: 대학생, 휴학생, 군 복무 중인 자는 제외될 수 있으니 반드시 자격 확인하세요.
3. 청년 창업지원금 (서울청년창업 지원사업)
창업을 준비하거나 이미 초기 창업을 시작한 청년에게는
서울시가 사업화 자금, 사무 공간, 멘토링까지 연계 지원해주고 있어요.
- 지원금: 최대 2,000만 원 사업화 지원금 + 공간 입주 + 창업교육
- 신청 자격: 만 19~39세 청년, 서울시 창업 예정 또는 3년 미만 초기 창업자
- 지원 항목: 시제품 제작비, 마케팅비, 브랜드 개발비 등
- 신청 시기: 매년 상반기~하반기 수시 공모
- 운영 기관: 서울산업진흥원(SBA), 서울창업허브 등
4. 청년 부채 상담 + 이자 지원 (서울 청년 금융상담센터 연계)
서울시는 금융 부담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위한 채무관리 정책도 운영 중이에요.
특히 고금리 대출을 받고 있는 청년에게는 이자 일부를 지원해 주거나
신용회복 전문 상담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요.
- 지원 내용: 무료 금융상담, 고금리 부채 이자 감면 지원 (최대 2년), 채무조정 연계
- 이용 대상: 서울 거주 만 19~39세 청년
- 신청처: 서울시 청년금융상담센터
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돈, 몰라서 못 받지 마세요.
서울시는 단순히 “청년을 응원한다”는 말이 아니라,
실질적으로 삶에 도움이 되는 ‘현금성 지원 정책’을 다수 운영하고 있습니다.
✔ 월세 지원 240만 원
✔ 청년수당 300만 원
✔ 활동지원금 최대 100만 원
✔ 창업지원 최대 2,000만 원
✔ 부채 이자 감면 등
청년이라고 다 받는 건 아니고,
스스로 신청하고, 자격 요건을 갖추는 사람에게만 열려 있는 제도입니다.
2025년 현재는 청년정책통합플랫폼(서울청년포털)이 잘 마련되어 있으니
지금 바로 본인에게 해당하는 정책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려요!